밀도·충전 속도·내구성 높인 혁신적 에너지 역량…탭리스 기술로 과열방지 등 다중 보호

▲중국 기업 BAK 배터리는 휴머노이드 및 첨단 로봇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로파워 시리즈를 개발했다. (사진=BAK배터리)

중국 선전에 본사를 둔 배터리 및 로봇 동력 회사인 BAK 배터리가 새로운 로파워(RoPower) 시리즈를 공개했다고 로보틱스247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BAK 배터리는 로파워 시리즈가 휴머노이드를 포함한 첨단 로봇의 급증하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도록 설계된 차세대 동력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기능 확장을 위한 맞춤형 동력 기술

BAK 배터리는 새로운 로파워 시리즈가 로봇 공학 발전의 중요한 시점에 출시됐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이 배터리가 더 높은 에너지 밀도, 더 빠른 충전 속도, 그리고 향상된 내구성을 제공해 더 오래, 더 스마트하고, 더 강력한 로봇을 구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첨단 로봇 시스템과 더불어 전력 소비 측면에서 또 다른 중요한 과제가 발생하고 있다. 더욱 스마트해진 AI, 더욱 복잡한 센서 융합, 그리고 장시간의 무중단 작동은 로봇의 동력 시스템에 전례없는 수준의 부담을 안겨주고 있다.

BAK 배터리는 로파워 시리즈가 로봇 산업에 더욱 강력하고 안정적인 운동 에너지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류지보 BAK 배터리 부사장은 “에너지 밀도가 kg당 1와트시(1Wh/kg) 증가하거나 충전 속도가 0.1C 향상(배터리 총용량의 10%에 해당하는 전류 증가)될 때마다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가능성의 영역이 열린다. 우리는 로봇 산업의 진화하는 요구를 이해하고 확장 가능한 실제 적용 분야에 지원하기 위해 배터리 제품군을 확장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우리는 단순히 로봇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산업 발전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고 말했다.

◇새로운 로봇용 배터리 3종

BAK 배터리는 로파워 시리즈의 일부인 다음과 같은 제품들의 성능을 조명했다.

△고강도 성능을 위한 로파워 18650-30D=이 제품은 야외 작업 및 고강도 물류에 이상적이다. 이 셀은 가장 중요한 순간에 즉각적인 전력을 제공한다. 탭리스(tabless)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며 내부 저항을 70% 줄여 5mΩ 미만으로 낮추고, 방전 용량을 100% 향상시키며, 온도 상승을 30% 낮춘다. 50A의 초고속 방전율로 기어오르기와 점프와 같은 역동적 움직임을 지연없이 지원한다. 9분 만에 10%에서 80%로 충전할 수 있으며, 고출력과 빠른 충전을 결합해 최대 가동 시간을 보장한다. 탭리스 기술은 전극의 전체 가장자리를 연속적인 전류 수집기로 만들어 기존의 개별 탭을 제거하는 첨단 배터리 설계 기술이다. 이 설계는 내부 저항을 크게 줄여 더 빠른 충전 및 방전, 향상된 전력 출력, 열을 더 고르게 분산시켜 더 나은 열 관리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기존 설계보다 더 강력하고 오래 지속되며 안전한 배터리가 탄생한다.

△오래 지속되는 로파워 21700-65E=이 모델은 순찰 및 가사 지원과 같은 장시간 작업에 적합하도록 설계됐다. 리터당 928와트시(928Wh/L)의 체적 에너지 밀도와 315Wh/kg의 중량 밀도 덕분에 작동 시간이 최대 30% 증가한다. 낮은 내부 저항(<8mΩ)과 4C 방전율은 효율적인 출력을 보장하며, 넓은 작동 온도 범위(-30°C~60°C)와 12가지 안전 인증을 통해 까다로운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

△극한 환경과 타협 없는 안전성을 위한 로파워 4695-330B=이 파워셀은 혹독하고 예측 불가능한 환경에 적합하도록 설계됐으며 높은 에너지 밀도(280Wh/kg)와 2000회 충전의 매우 긴 사이클 수명을 제공한다. 15분 급속 충전으로 다운타임을 최소화한다. 또한 내부 저항을 0.8mΩ 미만으로 유지해 과열을 방지하는 탭리스 기술을 통해 안전성을 강화했으며, 열 확산 제로(zero)를 포함한 다중 보호 기능을 갖추고 있다.

BAK 배터리는 다양한 작동 요구에 맞춰 출력, 용량 및 안전성을 미세 조정하면서 다재다능한 제품 매트릭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재구 기자 robot3@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